경영학과

 

교수진

교수소개

안내사항

  • 교수진 정렬 기준 : 학과장, 직위, 입사일, 이름 순서임.
라준영(Rha, June-Young) 프로필 이미지

라준영 교수

Rha, June-Young

연구분야

기업과 사회 / 생산·서비스

연구키워드

사회적기업가정신 기업과 사회(CSR &ESG) 환경경영 서비스경영

교수소개


						
KAIST 산업공학과(학사 94, 석사 96)와 경영대학(박사 07)에서 공부하였으며, 2009년 가톨릭대학교에 부임하여 현재 경영학과와 사회혁신융복합전공의 교수로 있다. 석사과정을 마친 후 LG생산기술원에서 제조업의 생산경영 분야를 연구하였고, 그 후 모교로 돌아와 공공 부문의 서비스경영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영학으로 세상을 바꾸는 것에 관심이 많다. 경영학의 대상인 시장과 기업이 세상에서 가장 우수한 혁신 기계라고 믿는다. 그렇다고 모든 사회문제를 시장과 기업이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할 만큼 뻔뻔하지는 않다. 언제나 공공, 시장, 사회의 경계를 넘나드는 파괴와 혁신의 질주를 응원한다. 자신은 사회적 기업가로 살아갈 의사가 없으면서, 학생들이 소셜벤처 창업과 사회혁신 실험에 도전할 것을 독려한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기업과 사회,  환경경영, 서비스경영 등이며 관련 논문 및 저서가 다수 있다. 최근까지 사회적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와 실천에 집중해 왔고,  진화 이론을 사회혁신 생태계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에도 관심이 많다. 
Prof. Rha earned his BA ('94), MS ('96), and Ph.D. ( '07) from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Since joining th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2009, he has served as a dedicated professor.  Driven by a deep commitment to transforming the world through business administration, Prof. Rha views markets and enterprises as among the most innovative tools available. Nonetheless, he acknowledges that not all social challenges can be resolved solely through market and enterprise mechanisms. He advocates for distruptive innovation that transcends the traditional boundaries of state, market, and society. Although he does not aspire to become a social entrepreneur himself, Prof. Rha passionately encourages his students to take on the challenge of starting social ventures and engaging in social innovation. His research encompasses a wide array of topics at the intersection of business and society, including social entrepreneurship, impact inves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He has authored numerous papers and books on these subjects. Over the past decade, his research has focused on valuating the social impact of business activities, and he has also shown a keen interest in applying evolutionary theory to the social innovation ecosystem.

최종학력

2007.08.17 | 한국과학기술원(KAIST) | 경영공학 | 공학박사

연구실적

  • 2024.10 | 교신저자 | 벤처창업연구, 제19권 5호, pp.13-27
    사회적 기업가적 지향성(SEO)과 기업가적 브리콜라주: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2024.04 | 교신저자 |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제17권 1호, pp.43-76
    사회목적조직을 위한 사회성과보상제도 : 제도 간 비교 및 리스크 분석
  • 2020.12 | 단독 | 사회적기업연구(SOCIAL ENTERPRISE STUDIES), 제13권 3호, pp.167-192
    제품/서비스의 사회적 가치와 화폐화 측정
  • 2020.11 | 단독 |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7권 4호, pp.165-190
    소셜벤처의 악성댓글 방지 서비스: 시지온 사례
  • 2020.09 | 단독 | 서비스경영학회지, 제21권 3호, pp.227-252
    구독경제와 미술작품의 서비스화: 오픈갤러리 사례
  • 2020.08 | 단독 | 사회적기업연구(SOCIAL ENTERPRISE STUDIES), 제13권 2호, pp.99-123
    고용형 사회적 기업의 고용성과와 화폐가치 측정
  • 2019.11 | 단독 | 서비스경영학회지, 제20권 4호, pp.125-144
    소셜벤처 아토머스의 모바일 심리상담 서비스 플랫폼
  • 2018.09 | 제1저자 | 사회적기업연구(SOCIAL ENTERPRISE STUDIES), 제11권 2호, pp.133-161
    사회성과인센티브(SPC)와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가치측정: 사회성과의 화폐가치 환산
  • 2018.03 | 단독 | 중소기업연구, 제40권 1호, pp.85-112
    우리나라 사회영향투자 시장의 현황과 과제
  • 2016.11 | 단독 |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7권 4호, pp.185-206
    사회적 기업의 가치혁신과 공유가치창출: 엔비전스(N-VISIONS) 사례
  • 2014.12 | 단독 | 한국협동조합연구 (TH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제32권 3호, pp.27-57
    사회적 기업 생태계와 정책 혁신: 진화론적 관점
  • 2014.12 | 단독 | 한국협동조합연구 (TH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제32권 3호, pp.91-113
    사회적 자본시장과 성장자본: 보조금 연계형 사회영향투자
  • 2014.11 | 교신저자 | 한국생산관리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Society), 제25권 4호, pp.343-362
    제조기업 생산부문 경쟁력의 측정체계와 인과모형
  • 2014.11 | 단독 | 서비스경영학회지 (Jou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제15권 4호, pp.107-124
    공유경제와 사회적 기업: 우주(WOOZOO) 사례
  • 2014.01 | 단독 | 청촌논총, 제15권 1호, pp.105-136
    사회적 자본시장 생태계의 국가간 비교연구: 영국과 미국
  • 2013.12 | 단독 | 한국협동조합연구, 제31권 3호, pp.49-71
    사회적 기업의 기업가정신과 가치혁신
  • 2013.11 | 단독 |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4권 4호, pp.27-51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 기업의 품질경영(TQM):(재)다솜이재단
  • 2012.09 | 단독 | SERVICE INDUSTRIES JOURNAL, 제32권 12호, pp.1883-1900
    Customer satisfaction and qualities in public service: an intermediary customer perspective
  • 2010.11 | 단독 | 벤처경영연구, 제13권 4호, pp.129-161
    사회적 기업의 비즈니스모델
  • 2010.09 | 단독 | 품질경영학회지, 제38권 3호, pp.378-392
    공공서비스 중간고객의 품질, 만족, 신뢰의 인과모형 분석
  • 2010.09 | 단독 |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1권 3호, pp.267-289
    공공서비스의 서비스품질과 관계품질의 인과모형 분석
  • 2010.08 | 교신저자 | 벤처경영연구, 제13권 3호, pp.41-56
    사회적 기업의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 : 사회투자수익률(SROI)
  • 2009.11 | 교신저자 | SERVICE INDUSTRIES JOURNAL, 제29권, pp.1491-1512
    Public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exploring the attributes of service quality in the public sector
  • 2023.08 | 공동 | 사회적가치연구원
    사회적 가치를 어떻게 측정하는가? - 화폐적 측정기법 랜드스케이프프
  • 2015.03 | 공동 | Edit the world(에딧더월드) : MYSC
    사회적경제 전망과 가능성
  • 2009 | 공동 | 함께일하는재단
    사회적기업 가치 측정 및 평가